728x90
반응형

자격증/가스기술사 79

[가스기술사 2022] 126회 4교시 - 6. 불활성화(Inerting)의 정의와 불활성화 방법을 4가지 설명하시오.

문제 6. 불활성화(Inerting)의 정의와 불활성화 방법을 4가지 설명하시오. 불활성화(Inerting)란, 가연성 혼합가스에 질소, 이산화탄소, 수증기 등의 불활성 가스를 주입하여 산소 농도를 최소산소농도(MOC) 이하로 낮게 유지시켜 화재, 폭발 등을 방지하는 것을 의미한다.불활성화 방법으로는 진공퍼지, 압력퍼지, 사이폰퍼지, 스위프퍼지가 있다. 1. 불활성화의 정의가연성 혼합가스에 불활성가스를 주입하여 산소 농도를 MOC 이하로 유지시켜 화재, 폭발 등을 방지하는 것을 의미한다.여기서 MOC(Minimum Oxygen Concentration)란, 가연성가스가 연소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산소 농도(%)를 의미하며, 아래와 같이 계산함MOC = LEL(폭발하한) × O2 몰수 2. 불활성..

[가스기술사 2022] 126회 4교시 - 5. 정부의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에 의하면, 화석연료에 의해 발생되는 탈루는 2018년기준 5.6백만톤CO2eq이라고 발표하였다. 여기서 탈루는 무엇을 의미하는지와, 어떤종류의 화석연료에서 가장 많은 탈루가 배출되는지와, 탈루에 관련된 가스제품·가스용품·장치·설비 등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5가지의 사례(부품명·제품명(명칭 등))를각각 설명하시오.

문제 5. 정부의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에 의하면, 화석연료에 의해 발생되는 탈루는 2018년기준 5.6백만톤CO2eq이라고 발표하였다. 여기서 탈루는 무엇을 의미하는지와, 어떤종류의 화석연료에서 가장 많은 탈루가 배출되는지와, 탈루에 관련된 가스제품·가스용품·장치·설비 등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5가지의 사례(부품명·제품명(명칭 등))를각각 설명하시오.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란, 2050년에 탄소중립이 실현되었을 때의 미래상과 부문별 전환내용을 전망한 것으로써, 부문별 세부 정책 방향과 전환 속도 등을 가늠할 수 있는 나침반과 같은 계획을 의미한다.국내 순 탄소배출량을 0으로 하는 2개의 시나리오로 구성되며, 화력발전 전면 중단 등 배출 자체를 최대한 줄이는 A안과 화력발전이 잔존하는 대신 C..

[가스기술사 2022] 126회 4교시 - 4. 수소-CNG 복합충전소의 충전 방식과 위험요소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문제 4. 수소-CNG 복합충전소의 충전 방식과 위험요소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1. 수소-CNG 충전소의 장점수소와 CNG가 모두 고압가스이고 각각의 설비구성 및 충전소 운영방식이 유사하여 안전관리에 이점이 있다.CNG 충전소 대부분이 대도시 인근에 있고, 버스차고지 등의 넓은 부지에 위치해있어 수소 충전시설을 설치하기 유리하다.향후 CNG 충전소에 공급되는 천연가스를 개질하여 수소를 생산/충전하는 방식으로도 전환 가능하다. 2. 수소-CNG 충전소의 충전 방식1) 수소 충전 방식Off-Site 충전소 : 저장식 충전소로써, 외부의 수소 생산지에서 파이프라인이나 튜브 트레일러 등을 통해 수소를 운송한 뒤, 수소 전기차를 충전한다.(현재 국내에 구축된 대부분의 수소 충전소는 튜브 트레일러를 활용한 Of..

[가스기술사 2022] 126회 4교시 - 3. 방류둑 내·외부 부속설비 설치기준(독성가스의 액화가스저장탱크 경우 포함)을 설명하시오.

문제 3. 방류둑 내·외부 부속설비 설치기준(독성가스의 액화가스저장탱크 경우 포함)을 설명하시오. 방류둑의 내부, 그리고 그 외면으로부터 10m(독성가스의 액화가스저장탱크의 경우에는 독성가스의 종류 및 저장능력에 따라 안전확보에 필요한 거리) 이내에는 저장탱크의 부속설비만 설치해야 함다만, 다음 설비는 방류둑 내부 또는 그 외면으로부터 10m 이내에 설치할 수 있음 1. 방류둑 내부에 설치할 수 있는 시설 및 설비해당 저장탱크에 속하는 송출 및 송액설비 불활성가스의 저장탱크, 물분무장치 또는 살수장치 가스누출검지경보설비, 재해설비, 조명설비, 계기시스템, 배수설비, 배관 및 그 파이프랙크(Pipe Rack)와 이들에 부속하는 시설 및 설비송액설비 : 액화석유가스저장탱크 및 저온저장탱크에 속한 것에 한..

[가스기술사 2022] 126회 4교시 - 2. 고압가스안전관리법상 가스누출경보 및 자동차단장치 구조, 설치장소 및 설치개수를 제조시설과 배관으로 구분하여 설명하시오.

문제 2. 고압가스안전관리법상 가스누출경보 및 자동차단장치 구조, 설치장소 및 설치개수를 제조시설과 배관으로 구분하여 설명하시오. 독성가스 및 공기보다 무거운 가연성가스를 취급하는 제조시설에는 가스 누출 시 신속히 검지하여 대응할 수 있도록 가스누출검지경보장치(이하 검지경보장치)를 설치해야 한다. 1. 가스누출경보 및 자동차단장치의 기능검지경보장치는 가연성가스 또는 독성가스의 누출을 검지하여 그 농도를 지시함과 동시에 경보를 울리는 것으로서 경보는 접촉연소방식, 격막갈바니전지방식, 반도체방식, 그 밖의 방식으로 검지엘리먼트의 변화를 전기적 신호에 따라 이미 설정하여 놓은 가스농도에서 자동적으로 울리는 것으로 하며, 가연성가스 경보기는 담배연기 등에, 독성가스용 경보기는 담배연기, 기계세척유 가스, 등유..

[가스기술사 2022] 126회 4교시 - 1. 위험물안전관리법상 위험물의 분류 및 지정수량과 제4류 위험물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문제 1. 위험물안전관리법상 위험물의 분류 및 지정수량과 제4류 위험물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위험물이란 인화성 또는 발화성 등의 위험성을 가진 물질로써 각 성질에 따라 1 ~ 6류로 나눔아울러 위험물별 위험성을 고려, 지정수량과 위험등급을 정하여 관리함 [ 위험물의 분류 ]위험물은 특성에 따라 1 ~ 6류로 나누며, 지정수량은 제조소등의 설치허가 등에 있어 최저 기준 수량을 의미하고, 위험등급은 운반용기의 재질, 최대 용적(또는 중량)을 나누는 기준이 된다. 1) 1류 산화성고체산소를 다량 함유한 물질로써 불연성이나, 가연성 물질과 혼합하여 연소 시 연소 정도가 매우 강한다.가열, 마찰, 충격 등에 주의해야 하며, 화재 시 주수 또는 건조사(무기과산화물의 경우)로 소화해야 한다.위험물 품명지정수량 (k..

[가스기술사 2022] 126회 3교시 - 6. 가스시설 내진설계의 개념과 국내 내진설계 대상 가스시설을 설명하시오.

문제 6. 가스시설 내진설계의 개념과 국내 내진설계 대상 가스시설을 설명하시오. 내진설계란 지진 발생 시 시설 및 인명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가스시설 등 구조물이 지진에 견디도록 설계하는 것을 의미한다.주요 가스설비에 대해 내진설계를 실시해야 하며, 중요도/영향도를 고려하여 내진등급을 선정하고 등급별 설계지반운동을 기준으로 지진하중을 계산하는 등 내진설계를 실시한다. 1. 내진설계 개념내진설계란, 지진 발생 시 가스설비 등 구조물이 지진하중을 견디도록 설계하는 것을 의미함여기서 내진이란, 좁은 의미로 구조물의 강성을 증가시켜 지진하중을 견디도록 하는 것을 말하며, 넓은 의미로는 아래와 같이 제진과 면진을 포함하기도 함제진 : 구조물에 능동 또는 수동 감쇠장치를 설치하여 지진에 의한 구조물의 진동을 저감..

[가스기술사 2022] 126회 3교시 - 4. 가스시설과 관련된 아래의 사항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문제 4. 가스시설과 관련된 아래의 사항에 대해서 설명하시오.1) 고압가스안전관리법상 방호벽 설치기준 2) 도시가스 정압기실 기계 환기 설비 설치기준 고압가스 시설의 경우, 폭발 등 사고 발생 시 피해 최소화를 위해 시설 주변에 방호벽을 설치하도록 되어 있다.아울러, 도시가스 정압기실은 누설 등 사고 발생 시 신속한 가스 제거를 통해 화재, 폭발이 발생하지 않도록 기계 환기 설비를 갖추도록 되어 있음 1. 고압가스안전관리법상 방호벽 설치기준1) 방호벽의 정의높이 2m 이상, 두께 12㎝ 이상의 철근콘크리트 또는 이와 같은 수준 이상의 강도를 가지는 것으로서 KGS 코드 등에서 정하는 벽을 의미한다. 2) 설치 대상아세틸렌가스 또는 압력이 9.8㎫ 이상인 압축가스를 용기에 충전하는 경우에는 그 한 쪽에서..

[가스기술사 2022] 126회 3교시 - 3. 독성가스 누출사고 발생 시 제독조치 및 대응요령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문제 3. 독성가스 누출사고 발생 시 제독조치 및 대응요령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독성가스란 고압가스법상 LC50이 5,000ppm 미만인 가스를 의미하며, 대표적으로 염소, 포스겐, 황화수소, 시안화수소, 아황산가스, 암모니아 등이 있다.독성가스는 조금만 누출되더라도 호흡곤란, 두통, 구토 등 인명피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누출사고 발생 시 응급조치 등 신속한 대응이 필요하다. [ 독성가스 누출 시 대응요령 ]1) 응급조치긴급차단장치를 작동하여 추가 누출을 방지함누출상황을 사업장내외에 긴급히 전파함누출부 주변의 작업을 모두 중지하고, 작업자 등을 바람이 불어오는 방향으로 대피 조치함중독자 발생 시 물 섭취, 물 세척 등 응급조치 후 병원으로 이송함근무자는 공기호흡기 등 보호구를 착용하고, 아래와 같이..

[가스기술사 2022] 126회 3교시 - 2. 매설배관 전기부식의 조사항목, 측정항목 및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문제 2. 매설배관 전기부식의 조사항목, 측정항목 및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도시가스 등 매설배관은 정기검사 시 관대지전위 등을 측정하여 이상 유무를 확인해야 함아울러, 도시지역내 도시가스 중압배관은 설치 후 20년 이상 경과 시 매 5년마다 정밀안전진단을 실시해야 함 [ 전기부식의 조사항목, 측정항목 및 방법 ]1) (전기방식 방법 확인) 방법의 선택과 시공이 적절한지 확인함 2) (관대지전위 측정) 정기검사 시 아래와 같이 관대지전위를 측정하고 이상 유무를 확인함(정상 범위: -2,500 ~ -850mV)본관 및 공급관(사용자공급관은 제외)의 경우 다음 기준을 따름전기방식 시설 20개 또는 전체 T/B(Test Box) 설치수의 20% 이상 중 많은 수를 선정하여 측정함상기 방법에도 불구하고 매..

728x90
반응형